[아래 사진 백남준 1968-1979년까지 <예술 프로젝트> 작성하는 모습 이 당시 백남준 제대로 먹지를 못해 영양실조(1964-1974)에 걸리다. 그만큼 힘든 시기였다] <1968년부터 1979년 11년 간 백남준의 초기 뉴욕시절에 그의 예술적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록펠러 재단 등의 경제적 지원은 그가 세계적 예술가가 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런 면에서 미국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 이 당시 백남준 생활고로 영양실조에 걸리다. 그러나 1974년 TV 부처가 뉴욕 미술계의 지축을 울리면서 먹고 사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되다>
[PART 2 Transforming Video and Television: Media Art Practices] 백남준은 TV와 비디오 매체를 미디어아트라는 신 예술의 탄생을 가능하도록 변형시키다 // 뉴욕 소호 자택에서부터 위성 송신 무대까지, 예술에 대한 백남준의 강렬한 인본주의적 탐구는 인간의 정신을 알리고 즐겁게 하며 고양시킬 수 있었다. // 이를 위한 그의 70년대 노력은 Rockefeller Foundation 및 WNET의 Television Lab과 같은 기관의 지원을 받았으며 Shuya Abe, Allan Kaprow 및 Allen Ginsberg 등과의 협력을 통해 유지되었다. // 이 텍스트를 읽으면 백남준의 역사적 중요성과 선구적인 사상가로서의 역할이 더욱 확고해진다. // 우리의 현재에 대한 그의 예지력 있는 예측을 되돌아봄으로써 독자들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21세기 미디어 생태계에 참여하고 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길을 추구하도록 영감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 - 이 책 편집자의 글 // This section, like the first, is divided into two mutually informing parts: "speculative writings" and "scripts and plans." This dialectical organization is in keeping with Paik's general approach to media art-one shaped by his study of Hegel at the University of Munich. This chapter shows him at his creative peak as his ideas gathered momen-tum, focusing on video and television art after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in 1964 and settled in Manhattan. Emboldened by his experiences in Europe as a member of Fluxus, Paik embraced his new home, which provided a platform for his emergence as an international artist. He expanded his practice to include broadcast television as well as video, utilizing television networks, satellite transmissions, installation art, single-channel video, and performance art practic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image processor. His writings in this section articulate a host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way these investigations into media would impact the worlds of art, edu-cation, business, diplomacy, and politics. // Paik worked tirelessly to advance video as a contemporary artist's medium. A utopian thinker grounded in the classics and versed in the avant-garde, he explored new media while remaining tied to aesthetic and conceptual strategies-chance, improvisation, the absorption of the found object, indeterminacy, and participation - that emerged from the radical art movements of the 1960s. Paik loved the moment of change and valued shifting perspectives. From his SoHo neighborhood to the stage of a satellite trans-mission, Paik's intensely humanistic inquiry into art could inform, entertain, and lift the human spirit. His efforts to do so were supported by institutions such as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Television Lab at WNET, and sustained by collaborations with Shuya Abe, Allan Kaprow, and Allen Ginsberg, among others. Reading these texts further cements Paik's historical importance and his role as a visionary thinker. It is our hope that by looking back at his prescient forecasting of our present, readers will be inspired to pursue new avenues for engaging and transforming the continually changing media ecology of the twenty-first century.
<출처: 백남준 영문 저서 We are in open circuits 중에서 87쪽>
'백남준 30대 (1962-7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남준] 신디사이저 발명 후, 다빈치처럼 정확하게, 피카소처럼 자유롭게 (0) | 2023.10.31 |
---|---|
[백남준] 사이버네틱스 아트: 자연과 기계와 인간의 위계를 허물다 (0) | 2023.10.29 |
[백남준] '알타이(유라시아) 연합국가' United KOREA (0) | 2023.10.17 |
[백남준] 초기 그의 급진적 아이디어, 지금 세계 표준 되다 (0) | 2023.10.03 |
[백남준] 텃세 심한 서구를 희롱한 희대의 '교란자' (0)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