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빈치

[백남준] 2000년 세계문화사 중 가장 위대한 예술가 한국에서 서양의 그리스 철학의 상징적 인물인 플라톤과 프랑스의 데카르트와 사르트르, 독일의 칸트와 니체와 맑스를 능가하는 세계적 철학자가 나왔다면 놀라운 일이 될 것이다. 물론 서양철학을 앞서는 기원전 동양의 노장이 있기는 하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아직 이런 철학자가 없다. 도올도 매우 훌륭한 세계적 철학자지만 그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2000년 서양 미술사를 능가하는 세계적 예술가가 한국에서 나온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가 바로 백남준이다. 이런 일을 사실 상상하기 불가능한 일이다. 그럼에도 백남준이 유명한 것은 그걸 말만이 아니라 실제로 실천했기 때문이다.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 황금사자상 수상은 다는 아니지만 그가 세계적 시각예술가의 한 사람이라는 물증(?).  서양예술사에서 백남준과 견줄만.. 더보기
[백남준] 다빈치 비교 II 테크놀로지 예술의 발명가 : 명상가 다빈치와 백남준 비교 / 다빈치가 테크놀로지 예술의 발명가였다면 백남준은 더 나아가 테크놀로지의 인간화를 추구하는 명상가이자 사상가였다 그리고 다빈치가 서양미술사의 최고의 천재적 화가라고 하지만 백남준처럼 천문학의 후손으로 우주의 은하계 속에 전자 오페라 장르(genre)로 거대한 규모의 사운드 아트 그림을 그리지는 못했다. 물론 당시 과학 수준이 지금이 비해 형편없이 뒤떨어지지만 더보기
[백남준] 다빈치와 비교 <Paik Nam June, 21C Leonardo> 아래 사진 이 문장이 인상적이다 세계의 가장 위대한 두 작가: 다빈치와 백남준, 2013년 영국 에딘버레 축제에 초대> 서양미술사에서 예술과 과학(Art and Technology)을 융합한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 이후에 500년이 지났는데 다빈치보다 더 훌륭한 화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 백남준은 세계미술사에서 미디어아트 창시자인데 500년 후에도 백남준보다 더 훌륭한 미디어아트 작가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두 사람은 동서를 대표하는 영원한 르네상스 인간이다 그래서 영미권에서 백남준 21세기 다빈치라 부른다아래 2013년 영국에서 열린 에딘버러 예술제 중 세계의 가장 위대한 두 작가: 다빈치와 백남준> 더보기
[백남준] 2013 에딘버러 페스티벌, '다빈치-백남준' 나란히 초대 [에딘버러 국제 예술 축제(2013년 8월~10월)] / 여기서 2명 작가가 초대되었다 /  에든버러국제페스티벌이 끝난 후 9월과 10월에도 계속될 전은 특별히 홀리루드하우스 궁전의 퀸스 갤러리에서 열리는 영국왕실컬렉션의 : 인간의 역학>전과 함께 열린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테크놀로지에 대한 예술가의 가장 혁신적인 탐구를 상징하는 다빈치와 백남준, 두 인물의 시대를 초월하는 예술 정신이 에든버러에서 타전되어 그 너머까지 울려 퍼지기를 기대한다. 자세한 정보는 에든버러국제페스티벌 홈페이지에서 확인 [1] 다빈치(레오나르도 다 빈치: 인간의 역학 / 예술과 기술을 결합한 기계적 인간) 서양미술의 아버지[2] 백남준 다빈치를 능가하는 새로운 비디오아트를 창시한 백남준(백남준의 주파수로: 스코틀랜드 외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