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디오아트

[백남준] 비디오아트, '반전사상'과 '반체제'와 '신기술'에서 시작 비디오아트는 '반전사상'과 '반항적 반체제정신'에서 시작했다. 그리고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통해 확장된 지각에 대한 '유토피아적 욕망'에서 시작했다. 미국 뉴욕 휘트니미술관 간행 '20세기 미국미술사'를 정리한 현대미술과 문화 1950-2000 > 중에서 세기 미국미술사> [비디오아트, 영화, 그리고 설치 1965-1977] 비디오아트는 1960년대 미국 반체제 문화의 세 가지 경향 속에서 탄생했다.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통해 확장된 지각에 대한 유토피아적 욕망, 반 베트남전과 미국 흑인 인권 운동인 민권 운동, 주류 텔레비전의 제도적 권위에 대한 반항심이 그것이다.  60년대 중반 태동기부터 비디오는 세 방향으로 발전했다. 1) 환각적으로 굴절된 이미지 프로세싱, 2) 정치화한 공동체 행동주의, 3) 퍼포.. 더보기
[백남준] 비디오 아트-위성 아트의 창시자, 레이저 아트의 개척자 0 백남준 없었다면 큰일 날뻔 했다. 서양미술 공세가 원자폭탄급이라 / 그들보다 더 센 핵 원자폭탄급이고 그들을 훨씬 뛰어넘는 방어막인 백남준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우리가 서양미술에 삼켜 먹힐 뻔했다 1958 케이지 만남 1960 존 케니비 넥타이 잘림 1961 1 백남준, 비디오 아트와 위성 아트의 창시자이고, 레이저 아트의 개척자이다. 2 한국은 문화인류학적으로 보면 천문학의 나라다. 조선에서 아침 朝라는 한자를 보면 이 들어 있다. 백남준은 바로 천문학의 후손답게 을 최대로 발휘해서 를 바탕으로 그것을 예술화했다 그것이 바로 위성아트다. 위성아트의 정신을 바로 초국가적으로 초연결을 의미하는 것이고 지구촌에 인류공동체(참여와 나눔과 공유와 연대를 극대화하는 코뮌세상) 건설하는 것이다 3 백남준과 .. 더보기
[백남준] 서양미술의 위기 구한 비디오아트, 독일에서 잉태 독일인들은 백남준을 통해 뒤샹 이후 막다른 골목으로 몰린 서양미술을 그 위기에서 구한 비디오아트가 독일에서 잉태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아래 27살의 백남준, 그는 이 당시 지구상에 한번도 없었던 비디오아트라는 새로운 신대륙을 발견하고 그걸 태동시킨 시기였다. 비디오아트(물감 페인팅의 한계를 극복하는 전자 페인팅 E-painting 여기서부터 (뉴)미디어아트가 출발점이 된다)는 동서양미술사에서 유럽인이 신대륙을 발견한 것과 같은 등가가치를 가진다 // 1959년 뒤셀도르프 22갤러리, 백남준의 전자아트 모색기, 비디오아트 태동기 백남준, , 갤러리 22, 뒤셀도르프 더보기
[백남준] 왜 TV에 이어 '비디오아트'를 하게 되었나? The purpose of video art is to liberate people from the tyranny of TV and its images" - Nam June Paik 백남준이 비디오아트를 하게 된 동기/"비디오 아트의 목적은 TV 및 이미지의 폭정으로부터 사람들을 해방시키는 것이다" -백남준. The purpose of video art is to liberate people from the tyranny of TV and its images" 백남준 TV로 예술을 시작했지만 텔레비전(one-way)의 지배구조를 해체시키기 위해 그 저항의 수단으로 비디오(two-way)를 1964년부터 도입 그러면서 기술에 저항하는 기술 즉 기술의 인간화를 추구하다. 아래 1964년 백남준 텔레비전의 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