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 50대 (1982-91)

[백남준] 1984년 1월 1일 우주 미학, 디지털-인터넷시대 선언

 

<백남준 198411일 우주 미학, 디지털시대, 인터넷시대를 선언하다>

 

1984년 위성아트는 시공간을 초월해서 (creating a multi-temporal and multi-spacial symphony) 일종의 전 세계 방송의 정보와 뉴스가 하나 하나 악기가 되어 총체적으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라고 본 것이다. 백남준은 거기서 총감독 총지휘자가 되다. 그래서 이 작품을 흔히 '우주 오페라'라고 한다.

 

백남준은 '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라는 작품을 발표하기 직전 1993년 겨울에 "이제 우리에게 21세기는 198411일부터 시작된다(Pour nous, le XXl e siècle commencera le 1er janvier / For us, the twenty-first century will begin on January 1st.)"라고 선언했다.

 

백남준, 시간의 차이와 공간의 거리를 없애는 미디어 통신과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전 인류가 1초 안에, 1칸 안에 시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전-지구적으로 초-국가적으로 만나 얼굴을 맞대고(interface) 살가운 표정으로 쌍호 소통하는 세상을 갈망했다

 

[Creating a multitemporal, multispatial symphony]  It is said that all the sciences can trace their roots to Aristotle: but the science of cosmic aesthetics started with Sarutobi Sasuke, a famous ninja (a samurai who mastered many fantastic arts, including that of making himself invisible, chiefly to spy upon an enemy). The first step for a ninja is learning how to shorten distances by shrinking the earth, that is, how to transcend the law of gravity. For the satellite, this is a piece of cake. So, just as Mozart mastered the newly-invented clarinet, the satellite artist must compose his art from the beginning suitable to physical conditions and grammar. Satellite art in the superior sense does not merely transmit existing symphonies and operas to other lands. It must consider how to achieve a two-way connection between opposites of the earth;how to give a conversational structure to the art; how to master differences in time; how to play with improvisation, in-determinism, echos, feedbacks, and empty spaces in the Cagean sense; and how to instantaneously manage the differences in culture, preconceptions and common sense that exist between various nations Satellite art must make the most of these elements (for they can become strengths or weaknesses) creating a multitemporal, multispatial symphony. - Nam June Paik, 1984

 

백남준은 순간적인 [시간]을 건반과 음표로 삼고 무한한 우주 [공간]을 붓과 캔버스 삼아 전자 오페라를 작곡하는 전위적 실험 음악가였다> // 백남준, 시간의 차이와 공간의 거리를 없애는 미디어 통신과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전 인류가 1초 안에, 1칸 안에 시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전-지구적으로 초-국가적으로 만나 얼굴을 맞대고(interface) 살가운 표정으로 쌍호 소통하는 세상을 갈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