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머니즘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남준] '보이스의 샤머니즘과 시간문제'에서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보이스와 샤머니즘] 요셉 보이스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진정 세계적 작가가 되었다. 서양만 알면 반쪽짜리 예술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 인류학적으로 보면 시간과 공간과 인간에서 인간이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그 장벽(경계)을 넘어서느냐에 달렸다. 요셉 보이스는 일단 공간에서 동양과 서양을 다 이해했고 시간에서는 찢어진 순간을 포착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요셉 보이스(Joseph Beuys)와 시간: 찢어낸 순간' 포착 / 인간에 내재해 있는 생명력 탐구] 그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가 바로 "인간에 내재해 있는 생명력과 자연과 시간, 운동 및 공간에 대한 인간의 지식"을 탐구하는 것 / 이건 백남준의 '시간론'의 주요 테마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 보이스가 시간을 이해하고 표현했던 .. 더보기 [백남준] 샤머니즘보다 더 이상적 유토피아는 없다 한국출신 백남준에게 샤머니즘보다 더 이상적인 유토피아는 없다. // 샤머니즘의 꽃인 '굿'은 영어로 GOOD이다. // 좋은 세상(해원상생 혹은 정음정양)을 만들자는 것이다. // 박경리가 "한국 예술의 뿌리가 샤머니즘이다"라고 말한 이유다. // 백남준 예술의 근간이 궁극적으로 샤머니즘에서 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 백남준의 샤머니즘은 스키타이 북방 아시아 몽골이나 시베리아 우랄 알타이뿐만 아니라 // 북미 인디언과 멕시코와 페루의 샤머니즘도 다 포함한다. // 샤머니즘이 무엇보다 좋은 것은 무정부주의적이기 때문이다. // 개인이 절대로 조직이나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 독재가 불가능하다. // 그런데 요즘 한국이 신자유주의로 정신 건강이 최악이라 // 권력과 손 잡은 사이비 샤머니즘이 횡행..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