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 60대 (1992-2001)

[백남준] 그의 책 '우리는 열린 회로 속에 살다' 제4부 편집자 서문

<우리는 열린 회로 속에 살고 있다> 백남준 저서 제 4부 편집자의 서문

[백남준이 New York TimesTV 평론가로 백남준보다 1살 아래인 존 조셉 오코너(John Joseph O'Connor 아래사진)와 시작한 서간 관계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존 오코너(1933~2009)는 누구? 뉴욕 브롱크스에서 태어난 그는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비평가였다. 아일랜드 이민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네 아들 중 한 명인 그는 뉴욕 시립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 예일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 그는 1959년 월스트리트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에서 카피 에디터로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저널의 예술 편집자이자 연극 및 무용 평론가가 되었으며, 계속해서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에서 활동했다. // 그는 뉴욕 타임스에서 25년 동안 주로 TV 평론가로 일했다. 76세의 나이로 사망, 사망 4주 전에 폐암 진단을 받았다. 맨해튼 자택에서 사망했다]

 

John Joseph O'Connor

백남준은 편지와 엽서 작가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친구들과 전 세계에서 계속 연락하고 싶은 사람에게 수많은 메시지를 우편으로 보냈다. 이 책들은 미학적, 개념적 논쟁에 대한 개인적인 기록이자 그가 수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경험한 엄청난 즐거움을 보여주는 삽화이다. 그는 여행을 좋아했고, 즐거운 밥상과 함께 만난 사람들과의 교제와 대화를 즐겼다. 그는 매우 사교적이었고 택시 운전사부터 박물관 큐레이터에 이르기까지 그가 만난 사람들의 정보와 관점을 쉽게 흡수했다. 4장에서 독자들은 그가 독일에 처음 도착했을 때부터 Mary BauermeisterWolf Vostell을 비롯한 그의 친구들에 대해 알게 될 것이며, 그가 New York TimesTV 평론가인 John J. O'Connor와 시작한 서간 관계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는 뉴욕에 정착한 후 서신을 보냈다. 여기에 다시 인쇄된 작품은 백남준이 글쓰기를 통해 어떻게 친구, 동료, 협력자와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그가 존경하는 사람들을 매료시켰는지 보여준다. 격언적이고 비선형적이며 개방적인 이러한 문자와 시대의 반영은 작가의 가장 친밀한 글 중 하나이다. // Paik was an active letter and postcard writer. He mailed countless messages to his friends and to people with whom he wanted to keep in touch around the world. They are personal records of aesthetic and conceptual debates and illustrations of the immense pleasure he experienced as he pursued myriad projects. He loved to travel and enjoyed the company and conversation of people he met, along with good food. He was intensely social and readily absorbed information and perspectives from the people he met, from cab drivers to museum curators. In this chapter, readers will learn of his friends from when he first arrived in West Germany, including Mary auermeister and Wolf Vostell, and will discover the epistolary relationship he initiated with John J. O'Connor, the New York Times television critic with whom he corresponded after settling in New York City. The works reprinted here demonstrate how Paik used writing to exchange ideas with friends and colleagues, cajole collaborators, and charm those he admired. By turns aphoristic, nonlinear, and open-hearted, these letters and reflections are among the most intimate writings by the artist.

 

뉴욕타임스 추모기사 https://www.nytimes.com/2009/11/16/arts/television/16oconnor.html

 

John J. O’Connor, a Times TV Critic in Years of Industry Upheaval, Dies at 76 (Published 2009)

Mr. O’Connor was a television critic for The New York Times for more than 25 years.

www.ny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