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비디오 샤먼) 이탈리아 밀라노 전, 1994년] 주최: 밀라노 의회 Mudima Foundation // 음악은 백남준의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그는 수준 높은 교육을 받은 음악가였기 때문이다. 파동(Wave)은 그의 창의성의 매개체이다. 따라서 비디오 아트는 화면도 아니고, 테이프도 아니고, 레코드도 아닌 흐름이며, 무형이며, 인식이다. 연결, 상호 작용, 추상적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매체일 뿐이다.
/ Nam June Paik. The shaman of the video curator: Fondazione Mudima / Arengario - Palazzo Reale - Milan / 3 June 1994 to 9 October 1994 // 아래 보도자료 영문 Council of Milan Department of Culture and Performing Arts // NAM JUNE PAIK Lo sciamano del video / The shaman of the video // Milan, Arengario - Palazzo Reale / 3 June - 9 October 1994 / The exhibition promoted by the Council of Milan, curated and organized by the Mudima Foundation, presents Nam June Paik, an acclaimed international artist, universally known as the creator of Video-Art. This prestigious exhibition helps to give back the city of Milan its strong role within the international art world.
The exhibition, through installations and video-sculptures specifically recreated by Nam June Paik for the Milanese show, portrays (beyond the work by this artist) a moment of our century where art and the capability of making art aren't necessarily expressed with known and traditionally recognized means and ways.
Officially Paik invented Video-Art in 1963, on the occasion of an exhibition at the Parnass Gallery of Wuppertal: 13 televisions were used as musical and electronic instruments, tools for a visual and sound representation.
Music is very important in the work of Paik, him being a trained musician; the wave is the vehicle of his creativity. Thus Video-Art is not the screen, not the tape, not the record, but the flux, it is intangible, it is perception: it is only a medium able to create connections, interchanges, abstract situations.
From 1963, using tapes, video-installations, broadcasts via satellites, Paik never stopped to surprise with the elegance of his cuttings, collages, combinations, creating a world where technique is sometimes the instrument complicit to his connections.
On the occasion of this exhibition Nam June Paik will present 11 never seen before works, inviting the visitor on a journey of sensations and reflections on the greatest means of communication, TV, used by him as an artistic tool.
On the occasion the publishing house Mazzotta publishes a volume dedicated to the work by Paik, with texts by Achille Bonito Oliva, Vittorio Fagone, Gino Di Maggio, Yongwoo Lee, Henry Martin, Daniela Palazzoli and Dominique Stella. Press Office: Irma Bianchi Comunicazione
<[백남준(비디오 샤먼) 이탈리아 밀라노 전, 1994년] 도록 저자: '아킬레 보니토 올리바'(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미술 평론가, 현대미술사가)와 이용우 등 저자> Nam June Paik: 비디오 샤먼 1994년 8월 1일 이탈리아어판 지노 디마지오 (저자) 등 (저자), 하워드 로저 맥린 (번역자) / 모든 형식과 에디션 보기 // "백남준 전시는 무엇보다도 위대한 게임이며, 현대와 대중사회의 가장 전형적인 언어에 대한 무모한 침입이다. 만약 미술 전시가 폐쇄적인 행사가 될 수 있다면, 이것은 그와 정반대 개념이다. 백남준의 발명품은 핵심적으로 의사소통을 담고 있으며, 집단적 상상력에 영향을 미치고, 실제로 상상력이 형성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Catalogo della Mostra allestita a Milano, Palazzo Reale, Arengario, nel 1994. Testi di Philippe Daverio, Gino Di Maggio, Dominique Stella, Vittorio Fagone, Achille Bonito Oliva, 이용우, Henry Martin. Edizione 이중 언어 이탈리아어/영어. «Una Mostra di Paik è innanzitutto un grande gioco, un'incursione spericolata nei linguaggi piùtipici della modernità e della società di Massa. Se mai una Mostra d'arte può essere un evento chiuso,questa ne è l'antitesi: l'invenzione di Paik ha al suo centro la comunicazione, l'impatto sull'immaginazione collettiva, anzi sui modi stessi di formarsi dell'immagaginario.» (필립 다베리오)
'백남준 60대 (1992-20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남준] 정재숙 전문화재청장 1990년 백남준 만남과 후일담 (0) | 2025.03.17 |
---|---|
[백남준]+혜초(한국 최초의 세계인)의 대일여래(大日如來) (0) | 2025.03.17 |
[백남준] 세계사에서 우리가 이길 수 없다면 우리가 그 규칙 바꿔야 (0) | 2025.02.04 |
[백남준] 무용가 김현자와 함께 퍼포먼스 도올이 쓴 현장기 (0) | 2025.01.12 |
[백남준] 장영실(측우기)] 크리에이터 형 인간을 좋아했다 (0)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