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 30대 (1962-71)

[백남준] '비디오아트' 탄생은 목숨 건 '15,000 볼트' 위험

<비디오아트 탄생시키는데 죽을 수도 있는 길을 간 것이다. 백남준은 즐겼다고 하지만 15,000 볼트의 속에서 생명에 위험을 가하며 극도의 공포를 줄 있는 죽을 수도 있는 목숨을 건 전자매체 연구였다. 정말 위험한 일이었다>

 

''난 1961년부터 시작한 전자공부를 매우 즐겼고 1만 5천볼트의 전기로 작업을 하면서 생명의 위험도 얼마간 즐겼다. 내가 미국인보다 2년 앞서 트랜지스터의 원리를 발견한 천재적인 아방가르드 천재공학자 '우치다 히데오'(우치다 라디오 리서치 연구소소장)와 과학이 논리보다 더 아름답다는 사실을 아는 전능한 기술자 '아베 슈아'같은 훌륭한 동료를 만난 것은 큰 행운이었다. 현재 우치다 히데오는 전자기술적으로 텔레파시와 예언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 - 백남준

"15000 볼트의" - 백남준

 

백남준 첫 전시를 하기 전부터 비밀방을 만들어 전자공학을 독학으로 하다. 그는 독서광이었기에 어디에서나 책을 읽었는데 비밀방을 만든 것은 거기에 가서는 전자공학 책만을 읽기 위해서였다. 그는 10대 때 물리학자가 되고 싶다고 할 정도로 이 분야에도 관심이 높았고 그리고 베를린 공대에 가서 도강을 하면서 전자공학 공부에 열을 올렸다

 

위에 내용은 그때의 자신의 경험을 토로한 글 같다. 백남준은 첫 전시가 끝나고 나서도 전자공학 공부가 부족하다고 생각해 일본으로 다시 가서 전자공학을 공부하게 되었는데 운 좋게 미국보다 22년 전에 트랜지스터 발명한 일본인 전자공학자 <우치다< 히데오>도 만나고 또한 전자기술자 슈아 아베도 만나 k456 로봇을 만들기도 한다

 

독일에서 백남준은 동양음악과 종교연구에 대한 존 케이지의 제안을 받아 1963년 첫 전시를 마치고 나서 도쿄로 여행을 했다. 사실 그보다 큰 동기는 더 많은 전자공학을 공부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백남준은 동경에서 운 좋게 미국인보다 2년 전에 트랜지스터 발명가인 <우치다 히데오>와 전자 엔지니어 <슈야 아베>를 만났다.

 

백남준은 이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첫 로봇 작품인 K-456(1964)을 만들었다. 그의 음악적 배경을 베이스로 만든 이 로봇은 K-456의 B- 플랫 메이저인 Mozart의 피아노 협주곡 18번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이 로봇 K-456(모차르트 쾨헬 456에서 왔다)은 청중에게 인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주다. 모차르트 오페라 노래도 부른다. 이 로봇은 똥도 싼다 그걸 콩으로 배설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었다. 결론은 전자 로봇의 인간화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