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럭스서가 왜 일어났나? 서양적 예술의 룰을 스스로 깨겠다고 일어난 미술 운동이라 그렇다> 백남준 비디오아트를 태동시킨 플랫폼이 되었던 플럭서스, 이 예술운동의 키워드를 이 단체의 회원인 딕 히긴스는 이렇게 12개의 주제로 요약 매우 유용한 자료 / 1. 동서 예술가 다 모인 국제적 조직 2. 삶과 예술의 일치를 무엇보다 강조하다 3 여러 매체의 결합 인터미디어다 4. 삶의 경험이 중요 5. 우연성을 강조 6. 유머와 재미를 강조 7. 현학적인 것 싫어하다 8. 위기에 대처하는 긴박성 9. 유별난 특별성 10 감각적 예민성 11 시간성 12 음악성
'백남준 30대 (1962-7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남준] 콜라주가 유화를 대체하듯 브라운관이 캔버스를 대신 (0) | 2024.07.09 |
---|---|
[백남준] 그리고 보들레르 세계 최고의 예술적 경지 도달 (0) | 2024.07.05 |
[백남준] 비디오아트, '반전사상'과 '반체제'와 '신기술'에서 시작 (1) | 2024.06.15 |
[백남준] 진중권이 본 그의 '미디어 아트'론 - 백남준아트센터 (1) | 2024.06.05 |
[백남준] 서양음악 해체 주동자, 유럽인에서 한국인으로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