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광주를 현대사와 관계시키기보다는 고인돌, 석조건축(거석문화)과 같은 광주의 문화유산에 관심 있어요. 광주의 석조문화가 선사시대의 스톤헨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어 그것의 현대판을 만들 생각 중에 있지요." - 백남준
1995년 백남준이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세계 최초의 미디어아트 전인 '인포아트(Information Art)'에 출품한 <고인돌> 이 작품에 대한 해설이다
<고인돌, 선사시대의 관점에서 광주죽임을 애도하는 진혼곡(Requiem)이다> 이 작품은 비디오아트의 대부 백남준(1932-2006)이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를 위해 제작한 이후 이곳에서 여러 차례 전시되었다.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유학하고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하며 그 누구보다 초국가적인 삶을 살았던 백남준은 시대를 앞선 예술가였고, 국제무대를 향한 포부를 갖고 시작하는 광주비엔날레가 대표 작가로 내세우기에 그보다 더 확실한 선택은 없었다. / 백남준은 광주비엔날레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고인돌> 제작뿐 아니라 개막식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더불어 비디오아트와 인터렉티브 컴퓨터 아트 전시에 초점을 둔 특별전 《인포아트를 신시아 굿맨, 김홍희와 공동기획하기도 했다.
<(전자) 고인돌>은 백남준 특유의 '비디오조각' 작품을 따르는 동시에 ‘전자 매체의 통합력,’‘신체의 기술적 확장, ‘우주의힘과 리듬'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작가의 주요 관심사가 결합된작품이다. <고인돌>은 1995년 광주비엔날레에서 대상을 수상한 쿠바 작가 크초(Kcho)의 <잊어버리기 위하여>와 함께 광주비엔날레재단의 소장품이 되었고, 2011년부터는 광주비엔날레재단 사무동 건물 1층 내부에 보관되고 있다. 크초의 작품은 이번비엔날레 중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리는 《지진: 충돌하는 경계들 전을 통해 오랜만에 전시장에 나오게 된다.<고인돌>은 텔레비전을 기둥·연방 형식으로 쌓아 올린형태를 띠는데, 이는 아시아 대륙에서 특히 많이 발견되는 기원전무른 양적인 고인돌'이라는 가설의 형태를 따온 것이다. 백남준은특유의 철학과 기교로, 선사시대 장례문화를 가져와 전자시대의삶과 죽음에 대한 일종의 기념비'를 만든 것이다. 이번 2015년 광주비엔날레의 <귀환>전 기획을 맡은 큐레이터는 <고인돌>이 광주비엔날레 역사에서 갖는 의의와 안티비엔날레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이 작품을 보수 후 망월동 구묘역이나 광주비엔날레전시관에 전시하기를 제안하였으나, 보수에 드는 비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이유로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20여 년이 훌쩍 지나 2018년 다시 마주하게 되는 <고인들>은 광주의 역사와 추모의 무의식 (funerary unconscious)에 대한 여러 질문을 제기하며 신중한 고찰을 요구한다. 예술은 기념이나 추모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을까?예술이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에서 '중재'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동시대미술을 수집하고 소장하는 공공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러한 컬렉션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백남준 60대 (1992-20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남준] 우주의 지축을 바꾼 예술가 - E. 브라운(Elizabeth Broun) (0) | 2025.01.02 |
---|---|
[백남준] '일연' 삼국유사에 반한 이유' - 도올과 인터뷰 중 (1) | 2025.01.02 |
[백남준] 그의 굿이 기존 굿과 다른 점은? 프랑스 백남준 전문가 묻다 (0) | 2024.12.02 |
[백남준]"메가트론/매트릭스"(1995) 워싱턴 미국 국립미술관 소장품 (0) | 2024.09.25 |
[백남준] 제1회 광주 비엔날레 160만 동원, DAUM 창안자 'NJP' (3)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