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국가가 해도 하기 힘든 프로젝트를 // 백남준 개인이 하다) 때문에 // 백남준 미국 PBS 공영방송에 16만 달러를 지불해야 했고 // 매달 일정액을 분납해왔다
그런데 // 돈이 갈급한 시기에 // 마침 KBS가 방송권을 사줬기(1만 8천 800달러 )에 // 그 재정적 위기를 조금이나마 // 넘길 수 있었다. // PBS 지불할 돈의 8분의 1을 확보한 셈이다. //
이 일에 다리를 놓은 사람은 바로 천호선 선생(당시 문화부 장관의 비서실장) // 아찔한 순간들이다. //
백남준 이 빚을 갚기 위해서 존 케이지, 요셉 보이스, 머스 커닝햄, 앨런 긴스버그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에게 // 무조건 판화 제작을 강제하고 // 그 작품 세트를 팔아서 제작비를 충당했다. // 그들의 작품이 좋아서가 아니라 // 이들이 너무 유명한 세계적 명성을 가지고 있었기에 팔리다
이 작품 후 백남준 오랫동안 빚을 갚느라 마음고생이 어마어나하게 심했다 아래는 이 빚을 어떻게 갚을까 고민하는 백남준 모습이다. 그러나 이 작품의 성공으로 그는 21세기를 시작하는 30세기를 연 작가가 되었다.
'백남준 50대 (1982-9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남준] 1989년 퐁피두센터 홍라희 여사, 박명자 회장 (0) | 2023.08.09 |
---|---|
[백남준] 1984 '굿모닝 미스터 오웰' 드로잉 심플하다 (0) | 2023.08.09 |
[백남준] 80년대 '위성아트', 1977년 '카셀'에서 시작 (0) | 2023.05.17 |
[백남준] 정보화시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0) | 2023.04.01 |
[나의 사랑 백남준] 발췌 소름 돋는 천재와 3살배기 (1)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