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 자료 아카이브

[백남준] 들뢰즈의 탈영토와 백남준의 탈영토의 차이는?

<백남준과 들뢰즈>"나는 지방자치주의자다" - 백남준 : "이제 변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 들뢰즈 / 그는 수평적(A Horizontal)이고 탈중심주의(Acentered System Society)를 언급한다. 들뢰즈의 리좀(Rhizome)을 설명하면서 이 개념을 도입했다. 아래 사진에 나온다)를 이런 표현으로 주장한다 / 백남준과 BTS 강연 중에서 - 이지영 철학박사(BTS 예술혁명 저자)

 

들뢰즈의 탈영토와 백남준의 탈영토의 차이는 뭔가? 탈영토는 탈중심주의다

백남준의 탈영토 혹은 탈영토제국주의는 21세기는 영토의 크기와 관계없이 가상공간의 영토(영향력)를 극대화하면서 창의성(첨단통신기술과 미래의 비전)을 가지고 세계를 지배하는 것을 말한다. BTS 그들은 영토 없이도 전 지구촌 젊은이들을 정신적으로 지배하고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백남준의 인류애를 되살리다. 백남준이 말하는 탈영토제국주의의 한 모습이다.

 

<백남준> 내가 고안해낸 개념인 '정주-유목민(Stationary Nomad)'은 원래 1970년대 오일쇼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하면 사람은 움직이지 않고 사람의 아이디어를 움직일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하다가 나온 말입니다. 1991

 

<들뢰즈> 칭기스칸은 결코 가볍게 여길 존재가 아닙니다. 그가 무덤에서 돌아올까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가 귀환한다면, 그는 어떤 다른 형태를 띨 것입니다. 이는 마치 폭군이 유목적인 전쟁 - 기계를 내부화하듯이 자본주의 사회가 혁명적인 전쟁 - 기계를 내부화하기를 멈추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유목민이 탄생하는 곳은 변방이 아닙니다(왜냐하면 변방이란 이제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는 필요하다면 움직이지 않고(motionless) 정주하더라도(stationary)우리 사회가 만들어낼 수 있는 여러 유형의 유목민들을 찾아내기를 원합니다. -질 들뢰즈, '유목적 사유. <사막 섬들과더 보기

 

<들뢰즈와 백남준> 탈영토 노마디즘 / 지금 잘 나가는 서구의 철학자들 사상을 백남준은 이미 삶과 예술을 실천 대개 철학자가 먼저 언급하고 나중에 작품에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은 꺼꾸로다 / 이미 백남준이 이미 다 실험한 것이다 특히 들뢰즈와 백남준은 거의 사상이 유사하다.

 

백남준 92회 생일(720) 맞아 여러 곳에서 행사 있군요 백남준 문화재단(생일 이브 파티) 백남준 포럼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