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 60대 (1992-2001)

[백남준] 세계최초(?)로 단군을 예술화하다

 

 

백남준은 세계최초(?)로 단군을 예술화한 사람이다. 백남준은 언제나 나의 자존심을 만족시켜준다 [2006년 리움미술관 <백남준에 대한 경의전>에서 찍은 사진]

 

백남준은 세계최초로 단군을 예술화한 사람이다

스키타이 왕 단군 테크놀로지 개발과 관련해서 인류가 공통적으로 갖는 관심이 있다면 그것은 테크놀로지가 지능이나 감성 면에서 어떻게 인간과 유사해질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이며, 이에 대하여 과학자들은 사이보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개발해 왔다. 백남준의 로봇 개발은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제 2회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에 출연한 K-456 로봇은 걷고 말하고 노래하며 배설도 하는 것으로 20채널 짜리 라디오로 조정되는 것이었다. 1986년 이후 신시네티의 칼 솔웨이 화랑과 공동 개발한 로봇들은 테크놀로지의 부산물을 이용해서 만든 것으로 형상의 측면에서 개별적인 인간들의 나이나 성별, 그리고 각자의 개성을 얼마나 차별적으로 표현하는가의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낡은 라디오나 TV의 겉 케이스를 조합해서 만든 인물상 속에 풍부한 표현력과 익살을 담은 그의 로봇작품들은 할아버지와 할머니에 이어 부모, 삼촌, 이모, 아기를 포함하는 <로봇 가족 연작>으로 발표되었는데, 이 연작은 한국의 대가족사회에 존재하는 가족 관념을 뚜렷이 보여 주는 작품이다. 이후 역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유명한 위인이나 자신과 가까웠던 지인들의 초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단군>은 제 45회 베니스 비엔날레의 독일관에 출품되었던 작품으로 <선덕여왕>, <장영실>과 같은 한국적 소재를 모티프로 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스키타이 족의 왕으로 표현된 단군은 커다란 눈과 지팡이, 표현적인 순간의 제스처를 통해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을 보여준다.

 

Moving to the USA in 1964, Nam June Paik met Charlotte Moorman, a collaborator with whom he would go on to develop and realize performance ideas he had been unable to stage in Europe. Aware of American society's taboo regarding sex, Paik performed Opera Sextronique with Charlotte Moorman. The performance was stopped by the police, Paik detained, and Moorman arrested for public obscenity. Paik produced several objects for Charlotte Moorman, including TV Bra and TV Cello. These objects assembled into one unit music, electronic media, and the body. Video art, developed from Paik's own concept of musical visualization, creatively combined the media and art into what was to become Paik's unique artistic genre.

 

Nam June Paik's unique usage of visual images represented an awareness of the merging of technology and human spirit. Zen in <TV Buddha>, the essence of play in <Participation TV> and shamanism in <Scythian King, Dan Gun> are a few examples that show Paik's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civilization, questioning and exploring the future of technology. After his <Good Morning Mr. Orwell> in 1984, avant-garde artists and pop artists gathered every two years and held a global festival through satellite TV. <Bye-bye Kippling> and <Hand in Hand> resulted from these gatherings, celebrating Nam June Paik's 'open mindedness toward the world.' As Allan Kaprow noted,'Nam June Paik was the most modern artist among us.'